모자이크 미니스트리

느헤미야 6-9장

제주한교회 2020. 5. 27. 10:12

2020년 5월 26일(화) 모자이크 미니스트리 <말씀을 걷다> 느헤미야 6-9장

1. 실패를 다루기는 만만치 않지만, 성공을 다루는 것이 훨씬 더 어렵다는 것을 리더들은 고백합니다. 토마스 카알라일은 “역경을 다룰 수 있는 사람이 백 명이라면 번영을 다룰 수 있는 사람은 한 명 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많은 경우에 성공이 사람을 파괴합니다. 리더십을 가진 사람에게는 세가지의 유리한 점이 있습니다. 1)지위: 당신은 더 될 수 있습니다. 2)권력: 당신은 더 할 수 있습니다. 3)특권: 당신은 더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런 것들이 지도력이 가져다 주는 합법적인 유리함 들입니다. 그러나 이 중에 하나라도 지도자가 잘못 사용했을 때, 그것이 리더를 무너뜨리게 됩니다.

“그런즉 선 줄로 생각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하라”(고린도전서 10:12)

2. 느헤미야 5장은 리더가 받는 시험과 그에 대한 해결방법이 나타납니다. 느헤미야는 12년동안 유다의 총독으로 있었습니다. 내용을 보면, 이전 총독들은 앞에서 말씀드린 1)권력과 2)특권과 3)지위를 남용했습니다. 이 세가지 분야에 리더십의 함정이 있습니다.

3. “나보다 먼저 있었던 총독들은 백성에게서, 양식과 포도주와, 또 은 사십세겔을 그들에게서 빼앗았고 또한 그들의 종자들도 백성을 압제하였으나 나는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이같이 행하지 아니하고” (느헤미야 5:15)

1)권력의 남용: 그들은 독재적이었고, 그들의 종들도 작은 독재자가 되었습니다. 리더십은 지배자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2)특권의 남용: 본문에는 ‘총독의 녹’이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총독은 특정한 양의 권리나 제한을 받지 않고 쓸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리더는 더 많이 받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럴 수록 리더는 그것들을 다스릴 수 있어야 합니다.

3)지위의 남용: 이몽룡이 이런 시를 지었습니다. “금빛 찬란한 아름다운 잔에 담긴 맛좋은 술은 천명 백성의 피요, 옥으로 만든 쟁반에 담긴 맛있는 고기는 만 백성의 기름을 짠 것이니, 촛농이 떨어짐과 함께 백성의 눈물이 떨어지고, 풍악소리가 높을 수록 원망의 소리도 높아진다.” 이전의 총독들은 백성들에게 과중한 세금을 부여했고 현실에 맞지 않는 요구를 했습니다.

4. 지도자로서 어떻게 자신의 온전함을 유지할 수 있을까? 느헤미야는 “나는 하나님을 경외하므로 이같이 행하지 아니하고”(느헤미야 5:15b)라고 말했습니다.

5. 하나님을 경외한다는 것은, 1)하나님께서 나를 이 지위에 놓으셨음을 깨닫는 것입니다. 이것을 ‘청지기’라고 합니다. 나에게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이 배운 지식이 있거나, 경험이거나, 재물이거나, 명성, 좋은 환경은 하나님께서 나를 사용하시기 위해서 맡겨 주신 것입니다. 우리는 ‘청지기’입니다. 2)지도자의 자리는 그에 따른 ‘책임’을 지는 자리입니다. 책임이 없는 권위는 없습니다.

6. 지도자에게 오는 함정을 이겨내려면 사람을 사랑하는 것을 개발해야 합니다. 나쁜 지도자는 그들이 무엇을 얻느냐에 초점을 맞추나, 좋은 지도자는 그들에게 무엇을 주느냐에 초점을 맞춥니다. 사람을 이용하는 지도자는 사람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입니다. 바울은 “우리가 이같이 너희를 사모하여 하나님의 복음으로만 아니라 우리 목숨까지 너희에게 주기를 즐겨함은 너희가 우리의 사랑하는 자 됨이라”(데살로니가전서 2:8)라고 말했습니다. 성도는 이용의 대상이 아니라 사랑의 대상입니다.

7. 특별히 영적지도자는 영원한 보상을 위하여 잠시의 보상을 뒤로 미루는 사람입니다. 느헤미야는 “내 하나님이여 내가 이 백성을 위하여 행한 모든 일을 기억하사 내게 은혜를 베푸시옵소서” (느헤미야 5:19)라고 기도했습니다.

8. 느헤미야는 예루살렘 성을 재건했습니다. 이제 예루살렘 성이 안전해지고, 땅의 가치도 올랐을 것입니다. 그는 이 점을 이용해서 부자가 될 수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왜 그랬을까? 비결이 무엇일까? 그는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자신의 눈으로 미래, 곧 영원한 나라의 보상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느헤미야가 현재에 어려워졌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그는 자신을 훈련시켜 자신의 자유를 제한하는 ‘축복다운 축복’을 누렸습니다. 멋있지 않습니까?

9. 피라미드는 올라갈 수록 면이 좁아집니다. 그 의미는 높아질 수록 자신의 많은 자유를 포기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실패자는 권리에 초점을 맞추지만 지도자는 책임에 초점을 둡니다. 끌려다니는 사람은 항상 권리를 주장합니다. 이끄는 사람은 늘 책임을 집니다. 실패자는 ‘나는 권리가 있다’고 말하고, 지도자는 ‘나는 책임을 진다’고 말합니다. 우리가 어떤 리더십을 가지든지 이런 시험을 받게 될 것입니다.